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 학회 소식
  • 뉴스레터
  • 국제동향

국제동향

Global Trends(국제동향) 2024년 5호
이름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날짜
2024.12.27 03:12
조회수
41
첨부파일(2)
05.연안 및 도서의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활용.pdf [다운로드:8회] 06.PARI_VOL.57_10월호.pdf [다운로드:14회]

1. 연안 및 도서의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활용
 
ec6ae25b4f42e1285e20350d55987026_2024_vol.5_image09.pngec6ae25b4f42e1285e20350d55987026_2024_vol.5_image10.png

 
일본의 국토교통부는 연안 및 도서 지역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한 일손 부족과 노후화된 인프라 및 자연환경 악화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이른바 ‘차세대 모빌리티’라 불리는 AUV(자율무인잠수정), ASV(자율무인수상선박), ROV(원격조종무인잠수정) 등 ‘차세대 해상 모빌리티’는 노동력 절감과 바다의 차세대 모빌리티의 새로운 활용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을 공개 모집하고 4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했습니다.
 
 
 
 
2. PARI VOL. 57 – 하이브리드 인프라 “IGGI” 프로젝트
 
 
ec6ae25b4f42e1285e20350d55987026_2024_vol.5_image11.pngec6ae25b4f42e1285e20350d55987026_2024_vol.5_image12.png


 
일본의 항만‧항공 기술 연구소에서 발행한 제57호 2024년 10월호에서는 하이브리드 인프라(IGGI) 프로젝트는 Integrated Green-Grey Infrastructure의 약자로 그린-그레이 인프라의 하이브리드 인프라를 의미하며, 그린 인프라는 자연을 기반으로 한 인프라로 예를 들어 맹그로브 숲, 인공 습지 등이 해당하며 환경 보호와 생태계 복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레이 인프라는 콘크리트 방파제, 항만 시설, 도로 등과 같은 인공 구조물로 주로 기능성, 내구성을 중시하는 인프라를 의미합니다. 이 두 개의 인프라를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하여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보호 인프라 조화를 이루려는 연구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