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Trends(국제동향) 2024년 3호 |
---|
|
|
1. PINAC InCom WG 236-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NAVIGABILITY OF NATURAL RIVERS ![]() ![]() PIANC InCom WG 236 보고서는 기존의 인프라 개발 방식을 넘어, 자연 하천의 고유한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면서 항행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관리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자연 하천은 규제되지 않은 수문학적 특성과 지형을 가지고 있어, 강의 흐름과 생태계를 자연 그대로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대형 댐이나 고정 구조물 같은 기존의 개선 방식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자연 하천은 수위와 지형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고정된 항로보다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동적으로 항로를 조정하는 방식이 필요하고, 임시 구조물이나 유연한 관리 방식을 통해 하천의 자연스러운 변화에 맞추어 항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하천 관리 방식이 강의 흐름을 고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자연 하천 관리에서는 자갈 보강이나 침식 억제 기술을 통해 강의 본래 흐름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부분에서 안정화를 꾀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보고서는 자연 하천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여, 각 하천의 특성과 생태적 요구에 맞춘 개선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강수량이나 수온 상승과 같은 장기적 변화 요인을 반영한 관리 방안도 제안합니다. 이와 같은 유연하고 동적인 접근을 통해 자연 하천의 생태계와 항행 안전성을 동시에 유지하는 지속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PORT TECHNOLOGY INTERNATIONAL EDITION 140 – GREENTECH FOR PORTS AND TERMINALS 2024
![]() ![]() PORT TECHNOLOGY 140호에서는 항만과 터미널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최신 기술과 전략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5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GreenTech for Ports and Terminals 컨퍼런스와 연계하여, 탈탄소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해 디지털화와 자동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항만의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환경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디지털화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자율 주행 차량(AV)이 터미널 운영에서 경로 최적화와 대기 시간 감소, 연료 소비 절감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한다고 언급하며, 아직 대규모 적용을 위한 기술적‧경제적 과제가 남아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디지털화와 자동화를 통해 항만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신기술을 조명하며, 이를 통해 항만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3. Study on Microzonation of Port and Harbor Area Based on Site Amplification Factors
![]() ![]() 일본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에서 항만 지역의 지반 증폭 특성에 따른 지진 위험 평가와 구역 설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항만 구조물의 내진 설계에 필요한 입력 지진동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지반의 증폭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만 지역을 구역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사이트 증폭 특성은 지반이 지진동을 얼마나 증폭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특히 항만지역은 진동에 민감한 퇴적층이 많아 지반 증폭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입니다. 연구는 과거 지진 피해 사례를 통해 항만 지역에서 증폭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일본 전역의 항만을 대상으로 증폭 특성이 유사한 지역을 동일한 구역으로 묶어 평균 증폭 특성을 설정하는 구역을 설정하였으며, 각 구역의 지리적 좌표와 특성 데이터를 정리한 지도를 작성했습니다. 이러한 지도는 항만의 지진 위험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특정 구역의 내진 설계를 최적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항만의 향후 계획 및 개발에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며, 일본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 웹사이트를 통해 관련 구역 지도가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번 보고서는 항만 구조물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반 증폭 특성 평가와 구역 설정 방법론을 제시하여, 일본 내 항만의 지속 가능성과 지진 위험 관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Case Analysis of BIM/CIM in Ports and Creation of Generic Objects
![]() ![]() 일본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는 건축 정보 모델링(BIM)과 건설 정보 모델링(CIM)을 항만 분야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너릭 객체를 생성하여 건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의 주요 목적은 이해관계자들 간의 실시간 정보 공유, 설계 오류 감소, 프로젝트 시간과 비용 절감, 특히 항만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 향상과 정보 공유의 용이성을 목표로 수행되었습니다. BIM/CIM은 건설 과정에서 3D 모델을 활용해 설계, 시공, 유지보수 단계의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하여 작업 효율을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시행된 항만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CIM 적용 사례를 분석한 결과, 3D 모델을 통한 시각화로 설계 검토가 용이해지고, 시공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항만 공사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부품들을 3D 모델 제너릭 객체로 제작하여, 특정 제조사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3D 모델 라이브러리로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BIM/CIM의 확대와 항만 건설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기술 교육과 중소기업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번 연구는 항만 건설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BIM/CIM 활용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